본문 바로가기
물류장비 - 컨테이너(Container) ※ 컨테이너의 종류 DRY CONTAINER 온도조절이 필요 없는 일반 잡화의 수송에 사용하는 전용적인 일반 컨테이너로 단열이나 보온, 보냉 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STEEL PANAL 재질임. REEFER CONTAINER 보온, 보냉 등 단열재를 사용하여 특수 제작된 컨테이너에 냉동, 냉장 장치가 설치되어 농수산물, 축산물, 가공식품, 화공의약품 등 냉동, 냉장을 할 수 있는 컨테이너. OPEN TOP CONTAINER 고정된 천장이 없고 캔버스 등으로 씌우고, 벗길 수 있게 제작됨. 천장이 없어도 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SPREADER BOW가 설치되어 있음. 천정으로 하역하는 것이 편리한 화물이나 OVER HEIGHT인 화물의 운송에 쓰임. FRAT RACK CONTAINER 덮개와.. 2024. 3. 28.
물류장비 - 인테이너 인테이너는 이동할 수 있는 랙의 기능을 가진 물류장비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개어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 공간에 맞춰 레이아웃을 자유 자재로 할 수 있어 합리적인 창고 운영을 가능케 하는 장비이다. 인테이너는 공간이용이 뛰어나 3~4단의 적재가 신속하게 됨으로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 8개분이 1개분의 공간에 콤팩트 수납되어 빈공간이 유효하게 사용된다. 보관 상품의 형태는 원형, 봉형, 모래형, 박스형, 부정형 등 다수로서 어떠한 상태의 보관물로도 기능적으로 수납 관리가 가능하여 여러 가지의 옵션을 채용할 수 있다. 인테이너는 랙이 고정설비이므로 빈공간의 활용이 어렵고 레이아웃의 변경이 어려운데 반해 이러한 점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장점이다. 제품을 입고에서부터 적재, 보관 작업 시 지게차로 어느.. 2024. 3. 28.
물류장비 - 리프트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여 롤테이너 등을 차량에 적재할 때 사용하는 장비이다. 대부분의 테이블 리프트는 피트 작업을 하여 최저 높이를 바닥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하며, 우편집중국 등에서는 도크레벨러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테이블리프트를 이용한 화물용 승강기 또한 제작이 가능하다. 테이블 리프트의 작동원리는 유압 실린더의 신축에 의한 높이 조절이며, 전동에 의해 작동된다. 기본 규격외에 사용처에의 환경에 맞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고정식 테이블 리프트 형태에 CASTER를 부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든 장비이다. 테이블의 상승은 유압에 의하여 상승되며, 전동식과 수동식으로 분류된다. 주로 경량물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며, 제품의 이송뿐만 아니라 작업대 대용, 부품 및 작업물 이송, 상하차, .. 2024. 3. 28.
물류장비 - 대차 ※ 대차의 종류 스테인레스 대차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식품 또는 습도가 높은 작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적재함 규격 : 900*600, 1200*600, 1200*800 스테인레스 대차 2단 스테인레스 재질로 식품 또는 습도가 높은 작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2단 또는 3단 적재가 가능함. 적재함 규격 : 사용자 편의에 맞게 주문 제작. 스테인레스 대차 3단 스테인레스 재질로 식품 또는 습도가 높은 작업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2단 또는 3단 적재가 가능함. 적재함 규격 : 사용자 편의에 맞게 주문 제작. DOLLY 바퀴가 없는 물품의 운반 시 바퀴 역할을 해주어 중량물의 근거리 운반 시 용이함. 이삿짐 옮길 때 많이 사용됨. 적재함 규격 :600*400, 750*450, 850.. 2024. 3. 28.
물류장비 - 견인차 ※견인차의 종류 특수 중량물 운송 및 order picking 작업이 요구될시 효율적으로 이용되며, 여러 개의 트레일러를 운반할 때 적합함. 명칭 이미지 적재능력 최소선회 반경(mm) 주행속도 (무부하) 견인차 2.0 2,000kg 1,330 ~ 1,670 7~9km/h 견인차 4.0 4,000kg 1,920 6~8km/h 견인차 6.0 6,000kg 1,590 11km/h 견인차 8.0 8,000kg 2,050 14km/h 출처 : https://www.forwarder.kr/ 2024. 3. 28.
물류장비 - 핸드파렛트 ※핸드파렛트의 종류 사용하중(Kg) 포크최고 높이(mm) 포크최저 높이(mm) 핸드파렛트 : 중량물의 단거리 운송에 탁월,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유압을 사용하여 원활한 높이 조절가능. 1,500 205 85 2,500 205 85 3,500 205 85 4방향차입 핸드파렛트 : 1,100*1,100 양면 4way차입 파렛트를 사용하는 핸드 파렛트. 1,500 195 75 2,500 195 75 SUS 핸드파렛트 : 식품 및 약품회사, 클린룸, 물을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사용이 용이한 핸드 파렛트. 1,500 200 74 2,500 200 85 하이리프트 파렛트트럭 : 연속반복 작업 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제품을 투입 또는 인출 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핸드 파렛트. 1,000 80.. 2024. 3. 28.
물류장비 - 드럼리프트 드럼을 운반하거나 드럼안에 있는 내용물을 혼합기나 믹서기에 투압하는 데 사용 되는 장비이며 드럼 운반 및 적재 시 사용. ○ Cylinder : Mast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량물을 상승, 하강 시키는 직접적인 장치이다. ○ Drum clamp : 드럼을 잡는 역할을 하며 원터치 타잎과 스크류 타잎이 있다. ○ Mast : Fork의 상승시 Roller가 타고 다니는 부위이다. ○ 유압펌프 : 동력 전달 장치. ○ Battery : 전원 공급 장치. ○ Rear wheel : 뒤쪽 바퀴. ○ Fornt wheel : 앞쪽 바퀴. ※드럼 리프트의 구분 드럼리프트 전동 DC 드럼을 운반, 적재 및 용기 내 쉽게 투입할 수 있음. 주행은 사람이 직접 밀고 다녀야 하며, 상승 하강은 전동으로 작동함. 사용하.. 2024. 3. 28.
물류장비 - 지게차 (1) 지게차의 구조 및 원리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로 알려져 있으나 이 기계의 올바른 명칭은 포크리프트 트럭이다. 이름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포크가 달린 트럭을 말한다. 사실 이것은 여러 가지 형태의 자재를 옮기기 위해 트럭몸체와 작업장치로 구성되어져 있다. 트럭몸체는 카운터웨이트와 주요이동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작업장치는 포크와 마스트로 나뉘어져 있다. 마스트는 차체의 앞쪽에 장착되어 틸팅되어지며 복수의 수직후레임구조로 되어있다. 두 개의 포크는 수직후레임을 따라 상승, 하강한다. 지게차는 구조상 차체의 전방에 하물을 적재하는 L자형으로 굽은 특수한 철봉(FORK)이 있고, 하물을 일정 높이까지 올리는 지주대(MAST)가 있다. 즉 FORK가 Lift하므로 FORKLIFT라고 하는 것이다. 이 F.. 2024. 3. 28.
물류설비 - 테이핑기 박스 상부를 테이핑 하여주는 기계. ※ 테이핑기의 형태 반자동 테이핑기 상부의 박스 날개를 접고 밀어 넣는 기계임. 자동 테이핑기 자동으로 박스를 접고 테이핑 작업까지 가능한 기계임. 반자동 제함기 반자동 제함기는 포장 작업대로 사용되며 박스를 손으로 밀어주는 타입임. 출처 : https://www.forwarder.kr/ 2024. 3. 28.
물류설비 - 제함기 펼쳐져 있는 종이상자를 접어주는 기계. ※ 제함기의 종류 VACUUM TYPE 진공을 이용하여 박스를 펼쳐주는 방식임. PIN PIC UP YTPE 핀으로 찍어서 박스를 펼쳐 주는 방식으로 진공을 사용하지 않아서 공기 소모량이 적음. 반자동 제함기 반자동 제함기는 포장 작업대로 사용되며 박스를 손으로 밀어주는 타입임. 출처 : https://www.forwarder.kr/ 2024. 3. 28.